fnctId=bbs,fnctNo=2640 RSS 2.0 75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김경득 학생 삼성전기 논문대상 동상 수상(지도교수: 김상길)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93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SWARM연구실(Smart Wireless Antenna, Radiation, and Microwave Laboratory, 지도교수 김상길) 소속 석사과정 김경득(20학번) 학생이 12월 2일 ‘삼성전기 논문대상’ 동상에 선정됐다.김경득 학생은 ‘Design and Analysis of Dual Polarized Broadband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5G mmWave Antenna Module on FR4 Substrate(FR4공정을 활용한 5G mmWave 안테나 모듈용 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에 관한 연구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이 연구는 대중적인 FR4 PCB 공정을 사용해 경제적인 5G 밀리미터파(mmWave) 안테나 모듈을 구현한 것이다. 논문을 통해 발표한 안테나 구조는 6G와 같은 Sub-THz대역에서 물질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CMA(Characteristic Mode Analysis) 분석법을 이용해 초고주파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출처: PNU Focus] 전자공학과 김형남 교수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356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김형남(사진) 교수가 11월 27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대한전자공학회 2020년도 정기총회 및 학회상 시상식’에서 논문(SP)상을 수상했다.이 상은 대한전자공학회에서 우수한 논문으로 학술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전자공학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6개 분야로 나눠 매년 선발하는데, 김 교수는 올해 신호처리(SP, Signal Processing) 분야 수상자로 선정됐다.김형남 교수는 2003년부터 부산대에 재직하면서 통신 신호처리, 레이더 및 소나 신호처리, 바이오 신호처리 분야의 전문가로서 해당 분야에서 51편의 SCI 논문, 54편의 등재학술지 논문을 게재했다. 또 7건의 국제특허와 44건의 국내특허를 등록하는 등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결과들이 향후 시스템에서 실제 도입이 기대되고 있을 정도로 학술적 성과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전자공학과] 김형남 교수대한전자공학회 논문상 수상[출처: PNU 포커스]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우수 논문 선정-전자공학과 김형남 교수팀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34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통신및신호처리연구실(지도교수 김형남) 소속 대학원생 노혜민·김호재 학생과 김형남 교수가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한국통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우수 논문 선정 절차에 의해 선정되는 통신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논문상이다.김형남 교수팀은 통신 및 국방 분야의 핵심기술인 도래각 추정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서 기존의 Beamspace MUSIC 알고리즘과 Time Modulated Array를 결합해 적은 데이터를 이용한 빠른 연산, 낮은 장치 복잡도를 가지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 ‘Beamspace MUSIC 알고리즘과 Time Modulated Arrays를 결합한 도래각 추정’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2020년 6월호에 게재했다.제안된 방법은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빠른 도래각 추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향후 통신 및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화와 관련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시상식은 11월 13일 서울대에서 개최된 한국통신학회 제47차 정기총회에서 개최됐다.* 사진: (왼쪽부터) 수상자 김형남 교수, 노혜민·김호재 학생 [출처: PNU Focus] 'IRL'팀, 대통령상 수상-2020 제우스 산업용로봇 ZERO 미션 챌린지(지도교수 이장명)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321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학생팀 ‘IRL’[팀장 천동훈(19학번), 권영근(19학번), 진성호·이승현(20학번)]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한 ‘2020 제우스 산업용로봇 ZERO 미션 챌린지’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수상팀은 교내 특수환경로봇기술연구센터에서 수행 중인 ‘로봇기반 혁신선도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수혜 학생들로 전자공학과 이장명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다.이들은 탁구공 Pick Place 작업에 적합한 그리퍼(Gripper, 손의 역할을 하는 로봇 장비)를 제작하고, 로봇 모션을 최적화해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Pick place를 구현했다. 이 그리퍼는 카메라로 작업물의 형태를 구분해 조립·분해·체결하는 등의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경쟁력을 인정받았다.한편, 이번 행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상에서 개최됐다. 각 팀은 독립된 부스에서 경기에 참가했으며, 이 모습이 실시간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일부 경기에서는 국민투표를 시행해 총 3,200여 명이 온라인 투표에 참가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사진: ‘2020 제우스 산업용로봇 ZERO 미션 챌린지’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부산대 ‘IRL’팀(왼쪽부터 이승현·진성호·권영근·천동훈 학생) [출처: PNU Focus] 하노겸·오용정 학생, 노혜민 연구원 한국통신학회 우수논문상 및 학부우수논문상 수상(지도교수: 신원재)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53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하노겸(19학번) 학생이 지난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한국통신학회 주관으로 열린 ‘2020년도 하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우수논문상’에 선정됐다. 전자공학과 학부연구생인 4학년 오용정 학생(15학번)과 노혜민 연구원도 학부생 논문대회에서 ‘학부우수논문상(우수상)’에 선정돼 11월 13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정기총회’ 시상식에서 함께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됐다.하노겸 학생은 ‘Interference-Free OFDM 수신기 최적화를 통한 합-전송률 최대화 기법’의 수상 논문에서 최신 간섭 관리 기법인 interference-Free OFDM의 수신기를 추가적인 오버헤드 없이 재설계 및 최적화해 통신 성능을 합-전송률 측면에서 크게 향상시킨 점에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우수논문상’에 선정됐다.오용정 학생과 노혜민 연구원은 ‘SAE-CCNN: 건물 윤곽 정보를 결합한 심층 신경망 기반 실내 측위 기법’에 관한 논문에서 최신 실내 측위 기법이 상당히 많은 좌표들을 실외로 예측한다는 심각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당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딥러닝 모델의 학습과정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손실함수를 제안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통해 실내 측위 기법의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연구로 ‘학부우수논문상’에 선정됐다.수상 학생들은 소속된 무선통신 연구실 신원재 교수의 열정적이고 훌륭한 지도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과분한 상을 받았지만 더욱 열심히 하라는 의미로 여기고 앞으로 끊임없이 탐구하는 공학도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수상자 하노겸·오용정 학생, 노혜민 연구원 [출처: PNU Focus] 2020년 김재창교수가족장학금(전자공학과) 장학생 선발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264 첨부파일 0 우리 전자공학과에 재직하시다 2011년 퇴직하신 김재창 교수님께서 발전기금을 통해 출연하신 "김재창교수가족장학금" 의 2020년 장학생을 선발하였습니다. 올 해 일학년 학생들은 대학생이 되자마자 코로나로 인해 기존의 대면 수업과 제대로 된 대학 생활을 경험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예년에 비해 평점평균 우수자 수가 많아 (2019년 일학년 대비 4.0 이상 취득자 2배수) 일학년 학생들을 응원하고격려하는 의미로 아래 일학년 4명의 학생이 " 2020년 김재창교수가족장학금" 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 전자공학과 202024262, 202024200, 202024182, 202024230* 선정 근거 : 평점평균, 소득분위, 1학기 지도교수 상담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 공과대학 「STAR 연구자상 및 우수 연구자상」- 전자공학과 엄일규 교수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57 첨부파일 0 (사진: 왼쪽에서 4번째 엄일규 교수님) 공과대학(학장 조영래)은 대형국책사업을 유치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거나, 우수 연구성과를 세계적으로 저명한 논문에 게재한 소속 교수들에게 「STAR 연구자상 및 우수 연구자상」을 수여했다. 이 제도는 공과대학 교수들의 사기진작과 연구의욕 고취를 위해 올해 처음 신설돼, 10월 14일 교내 상남국제회관에서 시상식이 개최됐다. 이날 시상식이에서 전자공학과 엄일규 교수가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우수 연구자상」은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세계적으로 저명한 국제학술지(JCR 상위 3% 이내, IF 10 이상, JCR 상위 5%이내와 동시에 IF 8 이상)에 우수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했거나, 10억 원 이상의 국책사업을 유치한 교원을 대상으로 선정했다.(그림: 출판된 논문의 첫 페이지) 엄일규 교수는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IF=9.340, JCR 상위 4.14%)에 “Fast single image dehazing using saturation-based transmission map estimation” 에 관한 논문을 2020년 1월 게재했다. 본 논문은 영상처리의 한 분야의 영상개선, 특히 안개 환경의 영상에 대한 개선 논문으로, 영상의 RGB 값으로 빛의 전달량을 추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최초로 영상의 채도를 이용하여 closed-form 형태의 전달량 추정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이 방법은 매우 빠른 속도로 영상에서 안개를 제거할 수 있고, 영상 개선 성능 또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google scholar 기준 4개의 citation을 가지고 있으며, 2020년 1월, 2월 이 논문의 전체 출판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the 50 most frequently accessed documents”에 선정되었다. IEEE 「젊은 연구자상」 수상자 선정_전자공학과 신원재 교수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356 첨부파일 1 전자공학과 신원재(사진) 교수가 국제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제15회 아시아·태평양지역 젊은 연구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IEEE 젊은 연구자상(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은 IEEE 정보통신분과위원회에서 35세 이하의 아시아-태평양지역 교수 및 연구원 가운데 최근 3년간 가장 탁월한 연구 업적을 낸 연구자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신원재 교수는 무선통신 이론과 머신러닝 분야 전문가로, 지금까지 관련 논문 33편을 SCI 국제저널에 게재했고 등록된 국내외 특허가 100건이 넘을 정도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 왔다. 향후 발전 가능성 또한 높이 평가받아 이번 수상자로 선정됐다.2018년 부산대에 부임한 신 교수는 올해 6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IEEE에서 수여하는 통신 분야 최고논문상인 '2020년 IEEE 프레드 엘러식 상(IEEE Fred W. Ellersick Prize)’을 수상했다. 현재 IEEE의 저널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한편, IEEE는 전기·전자·컴퓨터·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대 권위와 규모를 가진 학회로 현재 약 160개국 42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젊은 연구자상 시상식」은 오는 12월 IEEE 정보통신분과위원회 최대 학회인 ‘IEEE GLOBECOM’(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릴 예정이다. [출처:PNU FOCUS]붙임: 언론보도 스크랩 석사 황명하·김경득 제19회 전파분야 대학(원)생 논문공모 장려상 수상 (지도교수 : 김상길)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421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황명하·김경득(20학번) 학생이 ‘제19회 전파분야 대학(원)생 논문공모’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황명하·김경득 학생은 전자공학과 SWARM(Smart Wireless Antenna, Radiation, and Microwave) 연구실(지도교수 김상길)에서 진행한 ‘Origami-Inspired Radiation Pattern and Shape Reconfigurable Dipole Array Antenna at C-band for CubeSatApplications(종이접기 이론을 응용한 C-밴드 큐브 위성용 패턴/편파재구성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수상했다.이번 연구는 차세대 통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큐브위성(CubeSat)용 안테나 설계에 종이접기 이론을 접목한 것으로, 종이접기이론과 안테나 기술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으로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개선했고, 안테나의 경량화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또, 주어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안테나 형태와 편파를 변형할 수 있어 위성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제19회 전파분야 대학(원)생 논문 공모’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과 한국전자파학회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전파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논문 공모전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전국에서 모인 수백편의 논문들 중에서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13편의 논문만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시상식은 11월 20일 세종대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 왼쪽부터 황명하·김경득 학생 * 출처 :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PNU 포커스 전자공학과 최근 임용 교수 전원 한국연구재단 신진·중견연구자과제 수주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610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학과장 김형남)는 최근 4년 이내에 임용된 신임교수 5명 전원이 한국연구재단(NRF)에서 지원하는 주요과제인 신진연구자과제 또는 중견연구자과제를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지난해 3월에 임용된 박성윤 교수는 최근 중견연구자과제에 선정돼 향후 5년간 총 10억 원을 지원받게 됐다. 2019년 9월에 임용된 엄경식 교수와 2018년 3월에 임용된 김상길 교수도 신진연구자과제에 각각 선정돼 올해 3월부터 매년 1.5억 원을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에 앞서, 2018년 3월에 임용된 신원재 교수와 2017년 3월에 임용된 이성식 교수는 각각 2019년 3월과 2018년 3월부터 신진연구자과제(최초혁신실험실 구축지원 포함)를 각각 수행해 오고 있다.(과제명)- 박성윤 교수, 완전히 이식 가능한 초저전력 신경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엄경식 교수, 신개념 금나노입자 기반의 빛을 이용한 비침습적 초고해상도 인공시각장치 개발 - 김상길 교수, 기계학습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초정밀 초저전력 후방산란 무선 센서 시스템 - 신원재 교수, 신개념 비-직교 다중사용자 접속기술: 딥러닝 기반 신호-간섭 분할 기법 - 이성식 교수, 배터리교체가 필요 없는 웨어러블 시스템을 위한 초저전력 박막 전자소자 기술 및 관련 회로 설계기술 개발김형남 학과장은 “최근 임용된 신임교수들의 탁월한 연구실적과 우수한 연구력을 국가 차원에서 인정받은 것”이라며 “대학과 학과 차원에서 경사스러운 큰 성과를 얻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대학은 거점 국립대로서는 유일하게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단장 김형남)을 최근 유치했고, 전자공학과가 이 사업을 주관하고 있다. 또한, 전자공학과는 전기공학과와 함께 BK21 4단계 사업(단장 오민철)에도 선정돼 대학원 교육과 연구의 혁신을 추구할 예정이다. 이 사업들을 비롯 다양한 방면으로 대학과 학과 발전에 신임교수들의 큰 활약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사진: 위 왼쪽부터 박성윤·엄경식·김상길·신원재·이성식 교수 * 출처 :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PNU 포커스 전자공학과 남기곤 교수님 정년퇴임 기념행사(2020년 7월 13일)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90 첨부파일 0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35여년간 컴퓨터구조, 패턴인식 분야의 학문 연구과 강의에 애쓰셨던 남기곤 교수님께서 올 8월 말일로 재직생활을 마무리하고 정년퇴임을 하셨습니다. 정년퇴임을 기념하고자 7월 13일 학과교수님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가졌습니다. 한학기 더 컴퓨터구조 수업을 통해 교수님과 만날 수 있어 행복합니다.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정현민·전민욱·최종현 학생 한국전자파학회 우수 논문상 수상 (지도교수 : 김상길)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468 첨부파일 0 * 사진: 한국전자파학회 우수 논문상 수상팀(왼쪽부터 전민욱·최종현·정현민 학생) 전자공학과 정현민(16학번), 전민욱·최종현(18학번) 학생팀이 8월 21일 한국전자파학회가 주최한 2020년 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제1회 대학생 창의설계 경진대회’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수상팀은 '원형편파 적측패치 안테나의 후방방사 최소화 구조 설계‘에 관한 논문으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이 연구는 스마트 항만 물류 및 자재 관리 자동화를 위한 RFID(무선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서, RFID 리더기의 성능을 메타표면(자연계에 없는 광학적 성질을 갖도록 고안된 인공 물질)을 활용해 개선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출처 :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PNU 포커스 처음 1 2 3 4 5 6 7 끝 처음 다음 끝